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올해는 프랑스 농업회의소 설립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프랑스 농업회의소가 발간한 "1924-2024, 프랑스 농업회의소 100년" 자료를 번역 소개합니다. 100년의 역사를 짧은 자료로 모두 이해하기는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럼에도 세바스티앙 윈저 회장의 말대로 "흥미롭고 복잡한 운동"으로서 프랑스 농업회의소는 우리에게 많은 영감과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그들의 순탄하지만은 않았던 초기 설립 과정을 거쳐 시대별 수많은 도전과제에 농민-정부가 함께 이룬 값진 성과와 전진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일부는 우리 농업 역사와도 유사합니다.

 

* 이해를 돕기 위하여 김수석 박사의 자료를 참조하였고, 별도의 번역자 주석을 추가하였습니다. 번역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화면 캡처 2024-06-28 153006.jpg

 

 

프랑스 농업회의소 100년의 역사는 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1924-1945년 : 프랑스 농업 재건의 파트너, 농업회의소

2. 1946-1964년 : 농업 혁명의 중심에 있는 농업회의소

3. 1965-1985년 : 모든 영역에서 활약하는 농업회의소

4. 1985-2000년 : 세계화에서 차별화까지, 건강 위기에서 환경 문제까지

5. 2001-20024년 : 21세기 농업의 중심, 농업회의소

 

* [번역자료]: ​2406_프랑스농업회의소100년(번역).pdf

 

* [원본자료] 프랑스 농업회의소 원본 자료 보기

 

 

[5페이지] 지난 100년 동안 농업회의소는 75명의 농림부 장관과 협력하여 많은 개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였고, 다양한 위기를 극복해 왔으며, 앞으로도 농업과 사회, 농민과 시민 사이의 필수 불가결한 연결고리로 계속 남아 있을 것입니다(회장 인사말 중).

 

[7페이지] 농업회의소의 설립은 회원의 범위와 새로운 일반 농업위원회에 정치적 개입이 자리 잡을 수 있다는 두려움으로 광범위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특히 일반 농민들이 농업계를 대표한다는 사실은 그동안 정부의 유일한 대화 상대였던 시골 유력 인사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우려를 불러왔습니다. 

 

[8페이지] 공공기관으로 인정받은 농업회의소는 지역 농업계의 대변자로서 상공회의소 등 다른 기관과 동등한 대표성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다만 농업회의소가 이들 기관과 설립부터 차이가 있었던 점은 여성과 (농민 이외) 농업 종사자 모두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한 것입니다. 

 

[17페이지] 1954년 12월 24일 법령은 농업회의소 회장단 상설의회(APPCA)의 창립자인 루스 프롤트(Luce Prault)가 초안을 작성한 것으로 농업의 공익적 서비스 기능으로 확장된 농업회의소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하였습니다.

 

[23페이지] 지난 20년 동안 농업회의소의 전방위적 활동은 프랑스 농업의 번영에 기여하며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1958년부터 1969년 사이에 유럽경제공동체(EEC)에 대한 프랑스 농산물 수출 물량은 5배, 유제품 판매량은 24배 증가하였으며, 프랑스가 유럽공동체 전체 지역 내 곡물 판매량의 82%를 차지하며 ‘유럽의 곡창지대’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였습니다. 

 

[27페이지] 1968년에는 ‘농업회의소 회장단 상설의회(APPCA)’가 상공회의소와 동등한 국가기구로 지위를 인정받아 ‘전국농업회의소 상설위원회(Comité National Permanent des Chambres d'Agriculture)’로 격상되어 ‘농민에 의한, 농민을 위한’ 조직으로 대표성이 부여되고, 공식적인 발언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34페이지] 1980년에 농민의 아내들은 농업회의소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공동농업인 지위를 인정받았습니다. 이는 여성의 농업 참여를 완전하게 인정하고, 연금 수급권과 농업 교육기관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 받는데 필수적인 것이었습니다. 몇 년 후에 유엔(UN) 총회에서 매년 10월 15일이 ‘세계 농촌 여성의 날“로 제정되면서 여성 농민의 공로가 인정받게 됩니다. 

 

[39페이지] 농업회의소는 프랑스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차별화 경쟁을 위한 파트너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농업회의소는 유럽 품질인증 마크인 원산지 표시제(PDO), 지리적표시제(PGI), 전통특산품인증(TSG)의 도입과 함께 농가의 인증을 지원하였습니다.  

 

[40페이지] 모든 프랑스 국민이 농업의 풍요로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왔고, 농업회의소는 농민에 대한 자문과 컨설팅을 통해 농민들의 활력과 소득을 다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현재 ‘농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는 1만명 이상의 농민회원, 4,500개의 생산자 직거래 점포와 상점, 400~700개의 농민시장, 약100개의 농가 드라이브 판매점(드라이브 페르미), 5개의 ‘농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판매점 등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프랑스 전역에 1,500개의 숙박시설, 200여개의 농가 민박, 900개의 방문 체험 농장 등 농장 기반 관광도 계속해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43페이지] 1990년대 말과 2000년대는 농민이 중심에 놓인 환경 문제로 인해 새로운 사회 모델로 전환하는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는 농업의 기존 관행에 대한 시민들의 특별한 관심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과 유기농업이 출현한 시대였습니다. 농업회의소는 ‘책임감 있는 농민들이 실천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발전을 위해 최적화되고 혁신적이며, 전문 지식과 지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행위자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48페이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프랑스에서 5만 명 이상의 농민이 줄었고, 2030년까지 농민 2명 중에 1명은 은퇴해야 하며, 4명 중에 1명은 후계자가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직업으로 농업에 대한 의미와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세대를 교체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와 관련된 제약과 과제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51페이지] 농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탄생한 농업회의소는 오늘날 기후, 경제, 사회의 도전과 같은 여러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매일 생성되고 재창조되는 농업의 변화 중심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프랑스는 물론 유럽과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image02.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공지 [특집] '농어업회의소법'이 대통령 거부권 행사할 법인가? file 2024.06.04
» 1924-2024 프랑스 농업회의소 100년, "함께 100년, 농업에 미래가 있다" file 2024.06.28
87 일본 전국농업회의소, 2024년 식량농업농촌 기존정책의 구체화를 위한 ... updatefile 2024.06.28
86 [세계농정] 덴마크 정부, 세계 최초로 2030년 축산 농가에 탄소세 부과... file 2024.06.28
85 [세계농정] 미국 정부, 식품 손실폐기 감축과 자원화 국가전략 발표 file 2024.06.28
84 [세계이슈] 스위스 여성들, 유럽인권재판소 기후소송에서 획기적인 승소 file 2024.04.29
83 [칼럼] 프랑스 농업회의소 설립 100년, 우리는 시작도 못했다. file 2024.04.29
82 스위스 농업소득, 2015년부터 2021년까지 32% 증가 file 2024.03.30
81 [세계경제포럼] 2023년은 역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 file 2024.03.28
80 [세계은행] 최근의 국제 식량안보 상황 file 2024.03.28
79 독일정부, 생물다양성 국가계획 발표 file 2024.03.28
78 일본의 위성 사진을 활용한 유휴 농지 자동 판독 file 2024.03.28
77 프랑스정부, 지속가능한 식량프로그램의 전국 공모를 통해 64개 신규 ... file 2024.03.11
76 독일정부, 축산업 구조조정 촉진 연방 프로그램에 10억 유로 투자 file 2024.03.11
75 유럽연합, 녹색산업 활성화를 위한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file 2024.03.11
74 [칼럼] 일본 고향납세제도 15년의 경험과 함축 - 정영일 도농상생국민... file 2024.03.10
73 <르몽드지> 프랑스 농민들이 분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file 2024.02.02
72 프랑스 농민단체의 요구 file 2024.02.02
71 스위스 농업 직불금 30년 성과와 도전 file 2024.02.02
70 미국, 올해 여름부터 처음으로 아동 2,100만명에 식품비 지원 file 2024.02.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