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지난 6월 12일 미국 백악관은 농무부(USDA), 환경보호청(EPA), 식품의약국(FDA) 공동으로 기후변화 대처, 식량의 안정적 공급, 환경 정의 실현, 순환 경제 촉진을 목적으로 범정부 차원의 "식품 손실폐기 감축과 자원화 국가전략(National Strategy for Reducing Food Loss and Waste and Recycling Organics)"을 미국 최초로 발표하고, 2030년까지 식품 손실과 낭비를 50% 줄인다는 목표를 공식화했습니다.

 

1_hEyB_r8F57g0xy8WuyGKww.jpg

 

 

미국 식품 공급량의 약30-40%가 낭비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농무성은 소매와 소비자 단계에서 31%의 식품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는데, 2010년 기준 1,3330억 파운드와 1,610억 달러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미국 정부는 2018년부터 식품 폐기 감축을 위한 연방 정부 차원의 노력을 추진해 왔습니다. 2018년 10월에 농무성(USDA), 환경보호청(EPA), 식품의약국(FDA) 기관 간에 첫번째 협약을 체결하고, 2019년에 비영리 네트워크 민간조직(ReFED)과도 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20년 12월에 한 차례 협약을 연장하고, 2024년 5월에 3차 연장을 하면서 종합적인 국가전략을 수립하여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국가전략은 2022년 9월의 '기아영양건강 국가전략'의 연장선이며, 공개 의견 수렴(2023년 12월 5일~2024년 2월 3일)을 통해 접수된 10,000개 이상의 의견들이 반영되었습니다. 

 

국가전략은 1) 식품 손실 방지 2) 음식 폐기물 방지 3) 모든 유기 폐기물의 자원화 제고 4) 식품 손실폐기 감축 및 자원화 정책 지원 등 4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모든 사람을 위한 순환 경제 지원을 통해 식품의 자원화를 늘리고, 온실가스(GHG) 배출 감축, 가정과 기업의 비용 절감, 깨끗하고 건강한 지역사회 조성 등을 추진합니다. 

 

식품 폐기로 인한 메탄 배출량을 줄이고, 지역사회에 적합한 유기물 재활용 인프라 구축을 통해 환경정의가 실현하는 것도 중요한 목표입니다. 최근 환경보호청(EPA) 연구에 따르면 매립지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메탄 배출량의 58%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고, 매년 식품 손실과 폐기물로 인해 석탄 화력 발전소 60개가 배출하는 것과 맞먹는 강력한 온실가스 오염 물질이 생성된다고 합니다. 

 

또한 식품 손실과 폐기물 감축을 위한 공공-민간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지난 6월 1일 소비자브랜드협회, 식품산업협회(FMI), 전국음식점협회(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로 구성된 식품폐기물감량연맹(FWRA)과 양해각서(MOU)를 연장 체결하였고, '2030년 챔피언' 프로그램에는 스타벅스, 힐튼, 크로거 등 업계 대표 기업들이 참여합니다. 

 

톰 빌삭 농무부 장관은 "농무부는 식품 손실과 낭비를 줄이는데 전념하고 있으며 농민, 생산자, 지역사회 및 기업이 동참할 수 있도록 많은 프로그램과 활동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국가전략은 2030년까지 국가의 식품 손실과 낭비를 50% 감축하는 방향을 제시하였고, 미국 전역의 민간 부문과 지역 사회에서 행동을 촉진하길 기대합니다"고 밝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공지 [특집] '농어업회의소법'이 대통령 거부권 행사할 법인가? file 2024.06.04
88 1924-2024 프랑스 농업회의소 100년, "함께 100년, 농업에 미래가 있다" updatefile 2024.06.28
87 일본 전국농업회의소, 2024년 식량농업농촌 기존정책의 구체화를 위한 ... updatefile 2024.06.28
86 [세계농정] 덴마크 정부, 세계 최초로 2030년 축산 농가에 탄소세 부과... updatefile 2024.06.28
» [세계농정] 미국 정부, 식품 손실폐기 감축과 자원화 국가전략 발표 updatefile 2024.06.28
84 [세계이슈] 스위스 여성들, 유럽인권재판소 기후소송에서 획기적인 승소 file 2024.04.29
83 [칼럼] 프랑스 농업회의소 설립 100년, 우리는 시작도 못했다. file 2024.04.29
82 스위스 농업소득, 2015년부터 2021년까지 32% 증가 file 2024.03.30
81 [세계경제포럼] 2023년은 역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 file 2024.03.28
80 [세계은행] 최근의 국제 식량안보 상황 file 2024.03.28
79 독일정부, 생물다양성 국가계획 발표 file 2024.03.28
78 일본의 위성 사진을 활용한 유휴 농지 자동 판독 file 2024.03.28
77 프랑스정부, 지속가능한 식량프로그램의 전국 공모를 통해 64개 신규 ... file 2024.03.11
76 독일정부, 축산업 구조조정 촉진 연방 프로그램에 10억 유로 투자 file 2024.03.11
75 유럽연합, 녹색산업 활성화를 위한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file 2024.03.11
74 [칼럼] 일본 고향납세제도 15년의 경험과 함축 - 정영일 도농상생국민... file 2024.03.10
73 <르몽드지> 프랑스 농민들이 분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file 2024.02.02
72 프랑스 농민단체의 요구 file 2024.02.02
71 스위스 농업 직불금 30년 성과와 도전 file 2024.02.02
70 미국, 올해 여름부터 처음으로 아동 2,100만명에 식품비 지원 file 2024.02.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