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Extra Form
바로가기링크 https://www.nongmin.com/plan/PLN/SRS/55380/view

 

― 상향식 자율농정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한 지방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김종수=현재는 지방도 예전과는 달리 충분히 역량은 있다. 다만 예산 항목의 경직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뿐이다. 경북에서 2007년부터 운영한 FTA대책특별위원회는 이미 4기째에 접어들었다. 60여명의 교수와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분과별로 의견을 나누고 계획을 만들어 위로 올리는 상향식 농정이 많이 활성화돼 있다. 역량부족이라고 얘기하기보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마상진=경북과 충남은 그나마 낫지만 다른 광역자치단체는 그런 움직임이 좀 덜하다. 주민들이 평소에 설명회 등을 한번이라도 한 곳과 안한 곳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기초단체에서 의견을 수렴할 때 현장의 목소리를 담는데 이때 소외되는 계층 중에 하나가 청년농민들이다. 이들이 미래임에도 얘기를 못하고 있다. 또 여성농·고령농·영세농 등 다양하게 농정에서 책임질 부분이 많은데 지금의 농정 참여는 소수의 지역 토호세력 위주로 이뤄지는 것 같다.
▶김호=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다. 실제로 지방농정에 대한 합의구조를 갖추고 있는 곳은 확실히 역량이 높다. 지자체장은 선출직이라 정말 지역농민들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해줘야 인정을 받기에 자기 입맛에 맞춰서 할 수만은 없다. 또 하나는 중앙정부와 도, 시·군 등 세 주체가 결합해 변화하면서 농정 추진체가 바뀐다면 충분히 지방에서도 농정을 끌어갈 수 있는 역량이 생길 것이라고 본다.
▶김육곤=과거 지부장 시절 농정심의위원회에 참여해보니 요식행위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기에 농정심의위원회 기능이 더 활성화돼야 한다. 또 지역농정에 꼭 필요한 부분이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여기에는 지역의 농민단체·농협 등의 적극적 참여와 긴밀한 협조도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아베 정부가 실시한 농협 개혁이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생각한다.
▶조재호=기초자치단체는 농정 담당자 수는 적은데 이들이 수행할 사업이나 운영해야 할 제도가 너무 많아 실제 지역 여건에 적합한 정책이나 사업을 기획할 여력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브랜드 사업처럼 한두가지 사업이 주목을 받으면 다수의 기초자치단체가 유사한 것을 시행하는 사례도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본다.

― 지역 단위 거버넌스(협치)는 어떻게 구축돼야 하는가.
 

▶조재호=사업보다 중요한 것은 계획이다. 지방농정이라는 것은 농민·주민들이 잘살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야 하고, 이때 어떤 비전을 갖출지 고민해야 한다. 지금은 계획과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 개별사업만 들어가는 경향이 많다. 중앙에서는 지자체의 사업이 정말로 필요한지 따져야 하기에 계획이 중요하다. 계획만 제대로 세워지면 그 안에서 역량에 따라 사업은 얼마든지 추진할 수 있다. 앞으로는 지방에 공평하게 분배하기보다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발전계획에 담겨 있는 사업인지부터 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김호=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한다는 것은 일종의 네트워크 과정인데 거버넌스 활성화는 체계 안에서 주민들과 끊임없이 토론한다는 전제가 있는 것이다. 다른 말로 거버넌스는 농민들이 농정에 참여한다는 얘기다. 농민을 농업정책의 대상이 아니고 농업정책의 주체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것을 우리 농정의 중요한 모토로 삼고 있지만 하루아침에 되지는 않고 수년간 축적되면서 자연스럽게 과정을 겪으며 전체적인 계획이 세워지고 토론해야 한다. 따라서 농민들이 농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구로 농업회의소를 잘 활용해야 한다.
▶마상진=지금은 농정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알려주는 것 외에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제도적으로 농정 참여 수단은 있지만 소수 농민단체나 활동가들밖에 모른다. 지방농정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그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것 자체가 농정사업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 그밖에 농민 교육도 중요하다. 본인들의 의견을 얘기할 수 있는 창구를 알려주는 게 지역농정의 경쟁력을 키우는 가장 기본이 아닐까 한다. 

 

.

.

.

 

* 자세한 기사내용을 보시려면 위의 '바로가기링크'를 클릭해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15 농업·농촌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오피니언리더집담회 2015년2월10일자[농수...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14 농업·농촌 지속가능 발전 위한 국민농업 실천사례 발표회 2014년12월19일자...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13 농어업회의소 전국회의 상반기 워크숍 "농어업회의소 법제화, 20대 국회서 ...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12 농어업회의소 설립운영 '법제화'해야 2016년 11월 28일 [농수축산신문] 국민농업포럼 2017.01.23
411 농어업회의소 법제화를 기대하며 2016년 11월 22일 [충청투데이] 국민농업포럼 2017.01.23
410 농어업회의소 법제화로 '협치농정'을낡은 농정 탈피…농업계 대변·정책파트너...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09 농어업회의소 법제화, 20대 국회서 불씨 살아날까 2016년 8월 23일 [한국농...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08 농식품부, ‘국민공감 농정위원회’ 출범[식품저널]2013년4월22일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7 농식품부 이동필 장관 취임 이후 첫 특별 강연[소비자를위한신문]2013년4...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6 농식품부 이동필 장관 취임 이후 첫 특별 강연[공감코리아]2013년4월9일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5 농식품 안전 소비자가 적극 대응해야 9월16일자[농수축산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4 농민단체, "친환경급식 정치적으로 이용마라" 경고 2014년5월30일자[뉴시스]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3 농림어업 및 식생활발전포럼 창립 세미나 국회서 개최【푸드투데이】2012년9...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2 내년 3.11 전국조합장 동시선거, 협동조합 정체성 복원 계기 돼야 2014년10...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01 나주시-농어업회의소, '농정 파트너쉽' 강화 2016년 9월 27일 [뉴스웨이]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00 나주시 농어업회의소 활성화 워크숍 개최 【영산강닷컴】2012년5월4일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399 꿀벌 감소 비상, 양봉 육성 시급 2016년 8월 18일 [내일신문] 국민농업포럼 2017.01.20
398 김현권 의원, 농어업회의소법 발의…“농업인·농업·농촌에 활력을” 2016년 8월... 국민농업포럼 2017.01.20
397 규모화 농정 탈출전략, 가족농 대안 부상 2014년5월18일자[한국농정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396 귀향·귀촌 협동조합이 농어촌 바꾼다 2014년4월20일자[아시아투데이]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