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Extra Form
바로가기링크 https://www.nongmin.com/plan/PLN/SRS/55380/view

 

― 상향식 자율농정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한 지방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김종수=현재는 지방도 예전과는 달리 충분히 역량은 있다. 다만 예산 항목의 경직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뿐이다. 경북에서 2007년부터 운영한 FTA대책특별위원회는 이미 4기째에 접어들었다. 60여명의 교수와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분과별로 의견을 나누고 계획을 만들어 위로 올리는 상향식 농정이 많이 활성화돼 있다. 역량부족이라고 얘기하기보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마상진=경북과 충남은 그나마 낫지만 다른 광역자치단체는 그런 움직임이 좀 덜하다. 주민들이 평소에 설명회 등을 한번이라도 한 곳과 안한 곳이 상당한 차이가 있다. 기초단체에서 의견을 수렴할 때 현장의 목소리를 담는데 이때 소외되는 계층 중에 하나가 청년농민들이다. 이들이 미래임에도 얘기를 못하고 있다. 또 여성농·고령농·영세농 등 다양하게 농정에서 책임질 부분이 많은데 지금의 농정 참여는 소수의 지역 토호세력 위주로 이뤄지는 것 같다.
▶김호=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다. 실제로 지방농정에 대한 합의구조를 갖추고 있는 곳은 확실히 역량이 높다. 지자체장은 선출직이라 정말 지역농민들이 필요로 하는 사업을 해줘야 인정을 받기에 자기 입맛에 맞춰서 할 수만은 없다. 또 하나는 중앙정부와 도, 시·군 등 세 주체가 결합해 변화하면서 농정 추진체가 바뀐다면 충분히 지방에서도 농정을 끌어갈 수 있는 역량이 생길 것이라고 본다.
▶김육곤=과거 지부장 시절 농정심의위원회에 참여해보니 요식행위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기에 농정심의위원회 기능이 더 활성화돼야 한다. 또 지역농정에 꼭 필요한 부분이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여기에는 지역의 농민단체·농협 등의 적극적 참여와 긴밀한 협조도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아베 정부가 실시한 농협 개혁이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생각한다.
▶조재호=기초자치단체는 농정 담당자 수는 적은데 이들이 수행할 사업이나 운영해야 할 제도가 너무 많아 실제 지역 여건에 적합한 정책이나 사업을 기획할 여력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브랜드 사업처럼 한두가지 사업이 주목을 받으면 다수의 기초자치단체가 유사한 것을 시행하는 사례도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본다.

― 지역 단위 거버넌스(협치)는 어떻게 구축돼야 하는가.
 

▶조재호=사업보다 중요한 것은 계획이다. 지방농정이라는 것은 농민·주민들이 잘살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야 하고, 이때 어떤 비전을 갖출지 고민해야 한다. 지금은 계획과 기초가 없는 상태에서 개별사업만 들어가는 경향이 많다. 중앙에서는 지자체의 사업이 정말로 필요한지 따져야 하기에 계획이 중요하다. 계획만 제대로 세워지면 그 안에서 역량에 따라 사업은 얼마든지 추진할 수 있다. 앞으로는 지방에 공평하게 분배하기보다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발전계획에 담겨 있는 사업인지부터 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김호=계획을 수립하고 평가한다는 것은 일종의 네트워크 과정인데 거버넌스 활성화는 체계 안에서 주민들과 끊임없이 토론한다는 전제가 있는 것이다. 다른 말로 거버넌스는 농민들이 농정에 참여한다는 얘기다. 농민을 농업정책의 대상이 아니고 농업정책의 주체로 만들자는 것이다. 이것을 우리 농정의 중요한 모토로 삼고 있지만 하루아침에 되지는 않고 수년간 축적되면서 자연스럽게 과정을 겪으며 전체적인 계획이 세워지고 토론해야 한다. 따라서 농민들이 농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구로 농업회의소를 잘 활용해야 한다.
▶마상진=지금은 농정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알려주는 것 외에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제도적으로 농정 참여 수단은 있지만 소수 농민단체나 활동가들밖에 모른다. 지방농정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그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것 자체가 농정사업의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 그밖에 농민 교육도 중요하다. 본인들의 의견을 얘기할 수 있는 창구를 알려주는 게 지역농정의 경쟁력을 키우는 가장 기본이 아닐까 한다. 

 

.

.

.

 

* 자세한 기사내용을 보시려면 위의 '바로가기링크'를 클릭해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 흙의 날, 농업‧농촌 가치 살리는 계기로 2015년 3월 17일자 [한국농어민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74 흙의 날 제정 기념 기자회견 2015년 3월 10일자 [전북도민일보]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73 환경 위기, 양봉산업 활성화가 해답될 수 있어 ‘양봉전문가 육성 제도 신선 ...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72 한중FTA저지위해 농민단체 힘 모은다【한국농정신문】2012년5월29일자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71 한중FTA저지 비대위 6월 발족【한국농어민신문】2012년5월28일자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70 한농연중앙연합회 창립 26주년 “농업에 환한 불 밝히는 등불로” 12월12일자...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9 한농연, 창립 26주년 기념식·후원 행사 개최 12월13일자[농민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8 한-중 FTA '먹을거리불안'·'농업붕괴' 거대한재앙이덮친다[미디어오늘]201...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7 친환경농산물 수취가격 책정 환경농민단체-생협단체 이견 11월25일자[한국...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6 창간 35주년 특집/우리농업 위기극복 프로젝트 <3> 참여 2015월 4월 10일 ...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65 참석자들로 만석인 말산업의 육성과 발전방안 토론회 2015년3월6일자[서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4 차기정부 농정공약! 이것만은! 20. 정재돈 (사)국민농업포럼 상임대표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3 지자체장 4인의 농업미래 ‘4색 아이디어’ 2014년11월27일자[한겨레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62 지속가능한 지역농업의 실현 2015년 11월 3일 [전라일보]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61 지구촌농업 생생교실 <17>독일의 지역농업회의소 2015년6월12일자 [한국농... 국민농업포럼 2015.06.11
460 지구촌농업 생생교실 <99>프랑스 센에마흔느 농업회의소2 2016년 5월 20일 ...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59 지구촌농업 생생교실 <98>프랑스 센에마흔느 농업회의소1 2016년 5월 17일 ...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58 지구촌농업 생생교실 <100>프랑스 센에마흔느 농업회의소3 2016년 5월 24일... 국민농업포럼 2017.01.20
457 조합장 선거 앞두고 매니페스토 운동 뜨나 2014년10월19일자[한국농정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456 조합장 동시선거, 매니페스토로 대응하자 2014년10월6일자[농정신문] file 국민농업포럼 2015.03.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