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기획 연재>

다시 통일농업을 생각한다

이병호 사장님.JPG

 

 

 

 

 

이병호 국민농업포럼 이사 (전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사장)

 

 

1. 남북 농업협력은 인권의 문제이다

 

인구 2,450만인 북한에게 최소한으로 필요한 식량은 연간 550만 톤, 정상적으로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650만톤 수준의 식량이 매년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난 20여 년간 북한의 연평균 식량 생산량은 400만-450만 톤 수준.. 같은 기간 동안 100만-150만 톤의 식량이 매년 최소 필요량보다도 적게 생산되고 있다. 북한당국이 스스로 설정하고 있는 식량생산 목표는 약 800만 톤인 데, 사료용 곡물의 수요까지 고려하면 1,000만 톤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식량 전문가들의 견해다. 김정일 통치기간 내내 ‘농업생산 증대’를 매년 발표하는 신년 목표의 핵심인 주공 전선으로 채택하고 독려하였지만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남북관계의 단절과 김정은 체제로의 변화 과정에서 중국과의 협력강화로 오히려 북한의 경제가 활력을 얻고 있다는 일부의 관측이 있지만 그것도 평양 등 중앙과 일부 도시의 사정일 뿐 전체적인 식량 사정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상은 북한의 식량과 인구에 대한 FAO(유엔국제식량농업기구)의 최근 발표를 정리한 결과다.

 

요컨대 지금도 북한에는 심각한 식량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사자의 발생은 물론 인구의 상당 부분이 최소 영양 기준 이하의 식량을 공급받는 이른바 기아상태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식량 부족이 장기화된 지역의 일반적 경험처럼 북한에서도 이러한 기아 문제는 중앙보다는 지방, 그중에도 어린이 여성 노약자 등 사회적 취약 계층에게서 더욱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지금은 아무도 기억하고 싶어 하지 않는 통계지만 남북한 중학생의 평균 신장 차이가 13Cm라는 보고는 그러한 사례 중 하나에 불과할 뿐이다.

 

연유가 무엇이든 굶고 있는 사람이 곁에 있으면 식량을 나누는 게 인지상정이고 인륜의 도리이다. 인간이 태어나면서 가지는 기본적 인권 중에서도 맨 앞에 있는 것이 굶지 않을 권리이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처럼 농업의 생산성이 증대되고 물산이

풍부한 시대에 누군가 굶고 있다면 일차적으로 그가 속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크

겠으나, 그것을 감당하지 못하는 국가를 비난하는 것만으로 이웃의 책임이 면해지거나 감해지지는 않을 터이다. 기아의 문제는 국가와 민족을 넘어 인류가 함께 극복해야 하는 인권의 출발이기 때문이고, 인권은 어떤 이유로도 분별하지 않고 모든 사람을 비춰주는 햇살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식량지원의 전제조건으로 북한의 핵문제와 정치적 인권 문제를 제기

한다. 물론 중요한 일들로 개선되어야 마땅하고 그것을 위한 노력들이 장한 일이긴

하지만 이것을 식량문제와 연계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다. 굶는 사람을 옆에 두고 구제의 조건을 다는 것은 인륜에 반하는 일이고, 핵문제나 북한의 정치적 인권문제의 해결을 위한 전략과 전술로써도 지혜롭지 못한 일이다. 인도적 식량지원과 식량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농업협력이야말로 인륜과 인권의 문제이고 오래된 불신을 녹이고 화해와 평화로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획연재로 총 3회에 걸쳐 수록될 예정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82 스위스 농업소득, 2015년부터 2021년까지 32% 증가 file 2024.03.30
81 [세계경제포럼] 2023년은 역사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 file 2024.03.28
80 [세계은행] 최근의 국제 식량안보 상황 file 2024.03.28
79 독일정부, 생물다양성 국가계획 발표 file 2024.03.28
78 일본의 위성 사진을 활용한 유휴 농지 자동 판독 file 2024.03.28
77 프랑스정부, 지속가능한 식량프로그램의 전국 공모를 통해 64개 신규 ... file 2024.03.11
76 독일정부, 축산업 구조조정 촉진 연방 프로그램에 10억 유로 투자 file 2024.03.11
75 유럽연합, 녹색산업 활성화를 위한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file 2024.03.11
74 [칼럼] 일본 고향납세제도 15년의 경험과 함축 - 정영일 도농상생국민... file 2024.03.10
73 <르몽드지> 프랑스 농민들이 분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file 2024.02.02
72 프랑스 농민단체의 요구 file 2024.02.02
71 스위스 농업 직불금 30년 성과와 도전 file 2024.02.02
70 미국, 올해 여름부터 처음으로 아동 2,100만명에 식품비 지원 file 2024.02.02
69 FAO, 2023년 세계 식량가격지수 크게 완화 file 2024.02.02
68 독일 리더작센주의 2023년 유기농업 생산현황과 변화추이 file 2023.11.01
67 OECD, 농업지원이 사상 최고치로 생산과 시장 왜곡 정책의 개혁 필요 file 2023.11.01
66 독일정부, 유럽연합의 글리포세이트 연장승인 안건 다수 회원국 우려로... file 2023.11.01
65 유럽연합, 유럽 풍력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 추진 file 2023.11.01
64 유럽연합, 유럽인의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발표 file 2023.11.01
63 프랑스 파리에서 UN "제1차 학교급식연합 정상회담" 개 file 2023.11.0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