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생생지락(生生之樂)


임경수 (국민농업포럼 귀농귀촌특별위원장 / 완주CB센터 상임이사)


오래 전에 전에 미국, 영국, 일본의 농어촌 인구에 대한 자료를 검토할 기회가 있었다. 미국의 경우 1930년대의 저출산과 40~50년대 도시화를 거치며 꾸준히 감소해오던 농어촌의 인구가 80~90년대 이후 증가하였다. 초기에는 노령층이 이주했지만 최근에는 30~60세의 고학력 고소득 백인층이 농어촌에 이주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농어촌의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교통 및 통신 서비스의 발달, 농어촌의 어메니티에 대한 인식변화 때문이라는 것이다. 영국도 90년대부터 매년 6만 명 정도가 농어촌으로 이동하여 영국의 총 인구증가율 2%에 비해 농어촌인구는 5.5%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일본의 경우는 2007년부터 전쟁이후 베이비 붐 세대가 은퇴시기를 맞음에 따라 농어촌 회귀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이 세대를 농어촌에 이주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귀농귀촌인이 늘어나고 있다. 2013년 귀농귀촌인은 2012년 보다 36.2%가 늘어난 32424가구, 56267명을 기록했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같이 한국전쟁이후 베이비부머가 은퇴를 시작했고 건강, 웰빙 등의 다양한 이유로 전원생활을 희망하고 경제적인 관점보다는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젊은 층이 늘어난 탓이다. 또한 30, 40대 젊은 층의 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다니 반갑기 그지없다.


우리 ()국민농업포럼도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어쩌면 과소화, 고령화를 겪고 있는 우리 농촌의 버려졌던 희망의 불씨가 새로운 가치를 지향하면서 농촌을 바라보고 있는 이러한 사람들로 인해 다시 살아나지 않을까. 그래서 우리 포럼은 작은 모임을 통해 공부와 토론을 시작하여 지난해 10월 포럼 내에 귀농귀촌특별위원회를 설치하였고 이 위원회에서 준비한 귀농귀촌귀향 협동조합이 올해 421일 창립총회를 한 바 있다


물론 우리 포럼은 귀농귀촌귀향운동을 농업과 농촌의 대안으로만 보고 있지 않다. 농업과 농촌의 위기만큼이나 저성장, 고령화, 양극화가 복잡하게 얽힌 우리사회도 마찬가지 위기에 처해있다고 보고 있다. 우리 사회의 위기는 이미 세월호 참사에서 잘 드러나 있다. 세월호 마냥 이미 우리 사회는 기울었고 서서히 침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기는 시장과 자본주의의 한계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질서, , 생산위주의 경제로부터 생활 위주의 경제로, 경쟁의 시장경제로부터 공동체의 협동경제로, 생산과 소비만으로 연결된 도농관계를 공생의 사회적 관계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대안 속에서 베이비부머와 느린 삶을 지향하는 젊은 층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할 때 도시의 부담을 경감하고 농촌과 지역에 활력을 만들어줄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사회는 보다 건강하고 지탱가능해질 것이다.


그래서 우리 포럼은 귀농뿐 아니라 농사를 짓지 않더라도 농촌으로 이주하는 귀촌, 꼭 농촌이 아니더라도 작은 중소도시로 이주하는 귀향까지 포함하는 범국민적인 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또한 도시에서 이주하는 베이비부머와 청년들이 농촌과 작은 도시에서 원래 그 곳에서 살고 있던 지역민과 함께 협동적인 생활 그물망을 구성하는 것을 지원할 생각이다. 그래서 새로운 귀농귀촌귀향운동의 방식도 협동조합이다. 이 협동조합의 이름을 생생(生生)이라 정했다. 생생이라는 이름은 생생지락(生生之樂)’에서 차용했는데 서경에 나오는 말로 중국 고대 상나라 군주 반경이 너희 만민들로 하여금 생업에 종사하며 즐겁게 살아가게 만들지 않으면 내가 죽어서 꾸짖음을 들을 것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이 생생지락은 세종대왕의 국정철학이기도 했는데 세종은 백성들이 일하는 즐거움을 느끼며 신바람 나는 행복한 세상을 꿈꾸며 백성을 하늘로 여겼다는 것이다.


많은 도시민들이 농촌을 찾아오고 있고 또한 이주를 희망하고 있다. 그런 도시민들이 우리 농촌에서 단지 전원생활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과 함께 생생지락하기를 기대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77 프랑스정부, 지속가능한 식량프로그램의 전국 공모를 통해 64개 신규 ... file 2024.03.11
76 독일정부, 축산업 구조조정 촉진 연방 프로그램에 10억 유로 투자 file 2024.03.11
75 유럽연합, 녹색산업 활성화를 위한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file 2024.03.11
74 [칼럼] 일본 고향납세제도 15년의 경험과 함축 - 정영일 도농상생국민... file 2024.03.10
73 <르몽드지> 프랑스 농민들이 분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file 2024.02.02
72 프랑스 농민단체의 요구 file 2024.02.02
71 스위스 농업 직불금 30년 성과와 도전 file 2024.02.02
70 미국, 올해 여름부터 처음으로 아동 2,100만명에 식품비 지원 file 2024.02.02
69 FAO, 2023년 세계 식량가격지수 크게 완화 file 2024.02.02
68 독일 리더작센주의 2023년 유기농업 생산현황과 변화추이 file 2023.11.01
67 OECD, 농업지원이 사상 최고치로 생산과 시장 왜곡 정책의 개혁 필요 file 2023.11.01
66 독일정부, 유럽연합의 글리포세이트 연장승인 안건 다수 회원국 우려로... file 2023.11.01
65 유럽연합, 유럽 풍력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 추진 file 2023.11.01
64 유럽연합, 유럽인의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발표 file 2023.11.01
63 프랑스 파리에서 UN "제1차 학교급식연합 정상회담" 개 file 2023.11.01
62 ESG 관점에서 보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file 2023.08.30
61 그린피스,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날짜 발표에 대한 입장(2... file 2023.08.23
60 유럽 그린딜(Green Deal), 'Fit for 55’ 달성을 위한 에너지 효율 지침... file 2023.07.31
59 [WHO] 계속되는 동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은 인간에게 위험을 초래 file 2023.07.30
58 [생활과 통계] <2> 농지의 지속적 감소와 양극화 file 2023.04.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